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3년 4대보험 요율 알아보자
    카테고리 없음 2023. 7. 29. 01:30

     

    2023년이 다가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있는 4대보험 요율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의 일상 생활과 관련이 깊습니다. 그럼 2023년 4대보험 요율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2023년에는 국민연금 요율이 4.5%로 동결되었습니다. 이는 2022년과 동일한 요율을 유지하게 됩니다. 국민연금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4.5%의 부담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건강보험

    2023년에는 건강보험 요율이 3.545%로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이전의 3.39%보다 약간 높은 수치입니다. 건강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3.545%의 부담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고용보험

    2023년에는 고용보험 요율이 동결되었습니다. 따라서 이전의 0.9%와 동일한 요율이 유지됩니다. 고용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0.9%의 부담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사업장의 업종에 따라 요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각 사업장의 산재보험 요율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출퇴근 재해 요율은 0.1%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장기요양보험

    2023년에는 장기요양보험 요율이 12.81%로 상승되었습니다. 이는 이전의 12.22%보다 약간 높은 수치입니다. 장기요양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12.81%의 부담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요약정보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45%

    고용보험

    0.9%

    산재보험

    사업장별 적용

    장기요양보험

    12.81%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의 9%

    4.5%

    4.5%

    건강보험

    보수월액의 7.09%

    3.545%

    3.545%

    고용보험

    1.8% 플러스 알파

    보수월액의 0.9%

    보수월액의 0.9%

    고용안정사업 등은 사업장 규모에 따라 차이 있음

    산재보험

    업종에 따라 차이, 사업자 전전액 부담 1.53%, 업종별 산재보험요율(상이) 1.54%

    출퇴근재해요율 0.1%

    장기요양보험

    보수월액의 0.9082%

    근로자 부담 50%

    사업주 부담 50%

     

    마무리

    이상으로 2023년 4대보험 요율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렸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그리고 장기요양보험의 요율과 부담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각 보험료 계산기를 통해 개인별 보험료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4대보험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부담금 납부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장애인고용분담금 클릭

     

    ✅ 2023년 4대보험 요율 (종합) 클릭

     

    링크

     

    댓글

Designed by Tistory.